.NET은 MS의 전유물이다??
사실 맞는말이다. 하지만 Google을 헤엄쳐 다니다 보면 많은 개발자들의 Windows용 Application의 Linux Porting 프로젝트를 살펴 볼 수 있다. (sourceforge나 kldp.org 뭐 이런 싸이트들..)
.NET 환경도 마찬가지로 멀티플랫폼을 위해 (특히 유닉스 환경을 위해) 구축된 환경이 존재하는데 이름하여 Mono이다.
(자세한 정보는 http://www.go-mono.com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실 2004년 부터 이 프로젝트를 눈여겨 봐왔는데 상당히 개발이 많이 진척된 듯 하다. 현재 Mono 1.2.16에서는 windows 고유의 클래스인 System.Winform() 클래스까지 구현된 것으로 보인다. (Mono를 개발하고 있는 Novel사에서는 아직 불안정하다고 한다)
Mono에 대한 나의 경험은 이정도로 하기로 하고, 소개할 책은 Mono에 대한 문서를 Internet에서 PDF나 Html Form의 Document 밖에 구할 수 없다고 생각한 사람들, 새로운 것을 접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Mono의 구버전을 기준으로 설명이 되었지만 대체적으로 Mono의 기본적인 개념이나 Mono가 지원하는 Feature 등을 이야기하고 있다. 나름대로 설명이 상당히 깨끗하게 되어있는 책이라고 볼 수 있다. (사실 많은 컴퓨터에 관련된 지식을 인터넷으로 찾고 읽어보지만, 상당히 Instant한 정보들이라 뭐 하나를 배워보고자 할때는 좋지 않은 거 같다. 그러한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물론! Mono에 대해서 알고 싶은 사람들에게..)
개인적으로 .NET Web Application을 표현하는 양식인 ASP.NET에 예전부터 관심이 많았으나 오픈소스 신봉자인 나로써는 굉장히 구미가 땅겼다고 보면 된다.
글이 상당히 두서 없는데, 책에 대한 설명은 요정도로 하고 Mono에 대한 이야기와 여러가지 내가 알고 있는 지식들을 한 번 다음에 포스팅 해 볼 생각이다. (시험 기간이 끝나고...)
사실 맞는말이다. 하지만 Google을 헤엄쳐 다니다 보면 많은 개발자들의 Windows용 Application의 Linux Porting 프로젝트를 살펴 볼 수 있다. (sourceforge나 kldp.org 뭐 이런 싸이트들..)
.NET 환경도 마찬가지로 멀티플랫폼을 위해 (특히 유닉스 환경을 위해) 구축된 환경이 존재하는데 이름하여 Mono이다.
(자세한 정보는 http://www.go-mono.com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실 2004년 부터 이 프로젝트를 눈여겨 봐왔는데 상당히 개발이 많이 진척된 듯 하다. 현재 Mono 1.2.16에서는 windows 고유의 클래스인 System.Winform() 클래스까지 구현된 것으로 보인다. (Mono를 개발하고 있는 Novel사에서는 아직 불안정하다고 한다)
Mono에 대한 나의 경험은 이정도로 하기로 하고, 소개할 책은 Mono에 대한 문서를 Internet에서 PDF나 Html Form의 Document 밖에 구할 수 없다고 생각한 사람들, 새로운 것을 접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Mono의 구버전을 기준으로 설명이 되었지만 대체적으로 Mono의 기본적인 개념이나 Mono가 지원하는 Feature 등을 이야기하고 있다. 나름대로 설명이 상당히 깨끗하게 되어있는 책이라고 볼 수 있다. (사실 많은 컴퓨터에 관련된 지식을 인터넷으로 찾고 읽어보지만, 상당히 Instant한 정보들이라 뭐 하나를 배워보고자 할때는 좋지 않은 거 같다. 그러한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물론! Mono에 대해서 알고 싶은 사람들에게..)
개인적으로 .NET Web Application을 표현하는 양식인 ASP.NET에 예전부터 관심이 많았으나 오픈소스 신봉자인 나로써는 굉장히 구미가 땅겼다고 보면 된다.
글이 상당히 두서 없는데, 책에 대한 설명은 요정도로 하고 Mono에 대한 이야기와 여러가지 내가 알고 있는 지식들을 한 번 다음에 포스팅 해 볼 생각이다. (시험 기간이 끝나고...)